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스트코 선물추천
- 돈버는 퀴즈
- 국립중앙박물관
- 비식품
- 토스
- 코스트코
- 장자
- 코로나
- 부동산 투자
- 요기요
- 갭투자
- 4월 할인
- 12월 할인상품
- 코스트코 11월 할인
- 이마트 트레이더스 할인상품
- 당근마켓
- 코스트코 할인
- 코스트코 할인상품
- 맥도날드
- 식품
- 인간관계론
- 추석 선물
- 행운퀴즈
- 이마트 트레이더스
- 돈버는 퀴즈 정답
- 코스트코 10월 할인
- 1월 할인 상품
- 선물추천
- 코스트코 1월 할인상품
- 과일
- Today
- Total
소사블 공간
(쉽게 풀어쓴) "이기적 유전자" 정리 본문

나: 안녕하세요. 이기적 유전자에 대해 여쭙고자 합니다. 대략적으로 소개 부탁드립니다.
생물학자: 네 안녕하세요? ㅎ 이기적 유전자는 영국의 진화생물학자인 '리처드 도킨스'가 쓴 교양서적입니다. 1976년에 출간되었고, 가장 큰 인기를 얻은 책입니다.
나: 무엇이 그렇게 큰 인기를 얻게 했나요?
생물학자: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쓴 책이라서 그렇습니다. 또한 본인이 직접 연구한 것은 아니고 '조지 윌리엄즈, 윌리엄 D, 해밀턴, 로버트 트리버즈' 등 진화생물학자들의 연구를 집대성한 책이에요.
나: '진화'라는 용어를 들어보니까 다윈이 생각나는데, 도킨스와 다윈은 관련이 있나요?
생물학자: 물론 그렇습니다. 도킨스가 집대성한 학자들이 '신다윈주의 이론'입니다. 이들은 20세기 중반부터 등장했는데요,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트리버즈의 '호혜적 이타주의', 메이너드 스미스의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 등의 개념이 핵심입니다.
나: 말만 들어도 어려워 보이네요. 대략 무슨 내용인가요?
생물학자: 이해하시려면 먼저 다윈의 진화론을 아셔야 하는데요, 아주 간단히 소개하자면 '모든 생물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조금식 진화한다'는 이론입니다. 나중에 따로 다윈 이론을 설명드릴게요. 여하튼 신다윈주의 학자인 위 사람들은 다윈이 설명하지 못했거나 부족한 부분을 채워넣으면서 대중들에게 진화론을 알린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 흠... 그렇다면 '이기적 유전자' 책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요?
생물학자: 네, 핵심 주제는 "생물 진화의 주체는 유전자이며, 생물들은 모두 유전자의 자가복제 속에서 만들어진 기계적 존재이다."라는 것입니다.
나: 자가복제라는 것은 자기와 닮은 유전자를 만들어낸다는 것...즉 자기 닮은 후대를 양성한다는 것인가요?
생물학자: 네~ 쉽게 생각하시면 그렇습니다. 결혼해서 자기와 닮은 자식을 낳는 것도 유전자의 자가복제를 위한 것이라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진화 주체는 바로 '유전자'라는 것입니다.
나: 아니... 유전자가 주체라니... 그러면 인간이 주체가 아니고 마치 우리 인간이 유전자의 노예같은 뉘앙스로 들립니다.
생물학자: 네.. 그런데 이책을 읽을 때 주위해야 할 점이 유전자가 곧 인간(우리들)들과 동일시하여 보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작중에서 저자가 머릿말에 밝혔듯 유전자가 이기적이란 말이 곧 인간이 이기적이란 말과 동일한 의미가 아닙니다.
나: ...갑자기 헤깔리기 시작하는데요... 먼저 '이기적'이란 말부터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이기적이란 말은 나쁜 '악'을 의미하는 것 아닌가요?
생물학자: 아닙니다. 작가는 '이기적'이란 말을 악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인간이 자신의 유전자에 각인된 최선을 위해서 행동한다는 의미입니다. 더 설명하자면, '이기적'이란 말은 다른 이의 자원을 사용해서 자기복제를 늘리는 행위이고, '이타적'이란 말은 나의 자원을 사용해서 다른 이의 자기 복제를 늘리는 행위입니다.
나: 생각해보니 유전자가 살아남으려면 자가복제가 필수적이고, 그러려면 당연히 유전자가 최선을 다해 행동해야겠지요? 그것은 당연한 건데, 그것을 '악'으로 규정지으면 좀.... 그건 무리가 있는 표현같네요. 근데 '이기적'이란 어감이 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그냥 '최선을 다하는 유전자'(?) 이렇게 제목을 지었으면 오해가 없었을텐데..ㅎㅎ
생물학자: 그럴 수도 있겠네요..ㅎ 제목자체가 자극적이라고서 해서 가치중립성이 훼손되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나: 그런데 질문있습니다. 유전자가 자가복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즉 '이기적'인 속성을 갖고 있는데, 이타적인 면이 있지 않습니까? 예를 들면, 소방관이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행동을 하지 않습니까? 설마 그것도 이기적인 것으로 설명하나요?
생물학자: 님은 그것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요?ㅎ
나: '이기적 유전자' 책 제목답게 소방관이 자신의 영웅심을 드러내서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이기적 욕구 때문에 남을 도운 것은 아닐까요?
생물학자: 음... '아닙니다.' 방금 말씀하신 것은 '소방관 개인적 측면'에서 한 개인의 소방관이 가진 유전자가 이기적인 것이고, 그것을 펼치기 위한 목적으로 남을 도왔다라고 판단하시고 있는 것이에요.
나: ..그게 아니란 말씀인가요?
생물학자: 그렇습니다. 이기적인 유전자의 행동을 개체의 행동으로 오해하신 것입니다. 그렇게 판단하시면 모든 사람들의 이타적 행동을 결국 이기적 행위로 귀결시켜서 '세상은 결국 이기적인 인간들만 있어..' 라고 생각하면서 염세주의에 빠질 수 있어요. 이것이 이기적 유전자에 대한 가장 큰 오해 중 하나입니다.
나: ...그러면 소방관이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하나요?
생물학자: 소방관이 타인을 위해 희생하는 것은 개체 수준에서는 '이타주의'로 보이겠죠. 하지만 유전자 차원에서 본다면 결국 그러한 희생적 행동이 유전자 번성에 유리합니다. 즉, 개체가 아닌 유전자를 진화의 기본단위로 보자는 것이 리처드 도킨스의 입장인 것이죠.
나: 같은 사이엔스 인간 종의 번성을 위해서라면, 개체적으로는 나를 희생한 이타적 행위도, 종 차원에서는 유전자 번성을 위한 이기적 행동이라는 것인가요?
생물학자: 네 그렇습니다. 그래서 도킨스는 개체 수준의 이타주의는 유전자 차원에서의 이기주의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나: 그렇다면, 유전자는 결국 '이기적'이다라고 봐야겠네요. 아무리 개체적으로 이타성을 보인다고 할지라도..
생물학자: 네 핵심은 그렇습니다. 그래서 리처드가 '유전자'와 '개별 인간'을 따로 보자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타적인 '인간 개인'도, 유전자 차원에서는 이기적이라고 할 수 있죠.
나: ..근데 너무.. 유전자 관점으로 다 설명하는 것 아닌가요...?
생물학자: 기본 베이스가 저자는 생물이 유전자의 보존과 번성을 기반으로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는 자연주의적 관점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거듭 말씀드렸다시피 유전자는 '이기적' 유전자를 자연선택하며, '이타적' 유전자는 자연선택될 수되지 못한다고 설명하는 것입니다.
나: ..아무리 생각해도 인간을 마치 이기적인 유전자의 종속된 기계처럼 여기는 것은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생물학자: 바로 그러한 생각도 저자의 마지막 생각을 다 읽지 않은...일종의 오해입니다.
나: 제 생각이 오해라구요?
생물학자: 리처드가 궁극적으로 얘기하고 싶은 것은 유전가가 자가복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이기적' 속성을 갖고 있더라도 우리 인간은 이성을 통해 그러한 유전자의 명령(?)을 거부할 수 있고, 진정 이타적으로 누군가를 도울 수 있고 선함과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나: 아...갑자기 모순된 얘기를 하니까 또 헤깔리는군요..ㅠㅠ 그러니까 저자는 남을 돕는 사람은 유전자적 측면에서는 분명 이기적인 것이긴 한데, 그러한 이기성을 '이성'의 힘과 의지를 통해 '이타성'을 발현할 수 있다? 뭐 그런 말인가요? ㅠ
생물학자: 예 ^^; 한번 리처드의 말을 읽어보세요. "우리는 우리의 창조자에게 대항할 힘이 있다. 이 지구상에서 우리 인간만이 유일하게 이기적인 유전자의 폭정에 반역할 수 있는 것이다." 라구요. 이말은 유전자가 인간이 어떠어떠하게 살도록 설계되어 있어도 그것을 숙명처럼 여기고 그것에 맞춰 산다면 그건 우리 스스로를 노예로 전락시키는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나: 네 잘알겠습니다. 유전자가 우리각자에게 그러한 이기성을 심어놓았다 하더라도 우리가 반드시 복종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로군요.
생물학자: 예 맞습니다.
나: 혹시 인간말도 다른 동물 종도 '이기적 유전자'로 설명할 수 있나요?
생물학자: 네, 흡협박쥐가 자신이 애서 얻어 온 피를 배고픈 동료 박쥐에게 나눠주는 본성을 가졌고, 포유류는 자식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기도 하는 모성애를 가졌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분명 이타적인 행동이지만, 유전자 차원에서는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나: 그렇군요..ㅠ 저는 정말 자율적인 이성에 의해 우리의 본성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생물학자: 그 지점이 인간의 자유의지를 힘이 어디까지인지 논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해요.
나: 제 개인 소견으로는 대부분 인간은 이기적 유전자의 지휘아래 살아가겠지만, 진정 소수만이 그 명령을 거역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어려운 문제로군요.
생물학자: 네.. ㅎㅎ
나: 아무튼 오늘 말씀감사합니다.
생물학자: 고맙습니다^^
(참고자료)
이기적 유전자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가상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풀어쓴) 폴리아모리 (0) | 2023.11.24 |
---|---|
(쉽게 풀어쓴) 류이치 사카모토는 누구? (0) | 2023.11.18 |
(쉽게 풀어쓴) 2023 하반기 집값 향방 (2) | 2023.10.03 |
(쉽게 풀어 쓴) 강아지 꼬리 보디랭귀지 (0) | 2023.10.02 |
(쉽게 풀어쓴) 홀로그램이란? (2) | 2023.10.02 |